정정주: Luminous City

2024-05-03 ~ 2024-08-04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1전시실
0626136124
무료
정정주

본문

경험과 환영으로서의

외부세계를 포함한 예술을 온전히 향유하는 행위는 감각기관을 통한 정서적 자극을 넘어서 일련의 과정을 수반한다. 예술의 생산자와 향수자 모두에게 있어 미적 행위란 실용적이지 않거나 고상한 관념의 산물들을 단순히 지각하는 것이 아닌, 창작이라는 주체 행위와 감상이라는 수동적 요소의 균형 속에서 각각의 경험과 사고를 상호 인식하는 과정이다. 공간구조와 빛, 시점의 관계를 다뤄온 미디어아티스트 정정주는 감상자의 감각체험이 전부가 아닌 빛·장소·시선 등의 개별 요소들을 통해 작업의 열린 해석을 지향한다.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기획초대전 <정정주: Luminous City>는 매개적 성질의 을 중심으로 빛 경험의 이중성과 양가적 특질을 거론한다. 정정주는 도시경험이라는 구체성을 띤 소재에서 사회적 맥락 안에서의 삶의 양태 및 현전(現前)을 이야기한다. ‘Luminous City’라는 주제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발광하는 인공의 빛은 신자유주의 속 도시의 욕망과 함께 모종의 허무를 담보한다. 우리가 인식하는 빛의 관념이란 종교적 초월성과 도시문명의 스펙터클, 자연과 인공, 희망과 허무, 정신계와 물질계, 시각과 촉각 등 상반된 성질을 모두 함의한다. 정정주의 독일 유학시절, 초기 작업에서 보이는 빛에 대한 인식은 그가 경험한 불안에서 비롯됐다. 자신의 방안을 비추는 태양빛이 따스함과 부드러운 성질을 넘어, 어느 순간 마치 거인의 혀가 내 작은 방을 핥고 지나가는 것과 같은 공포와 촉각적인 괴리감을 안겨주었던 일은 형이상학과 물리적 세계에 걸쳐 있는 빛, 그리고 그것의 다의성에 대한 천착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빛을 인지하는 감각기관인 눈은 보는 행위, 즉 응시의 증거로서 공간과 장소에 작용하여 빛, 혹은 빛에 의해 비추어지는 외부세계를 경험하게 한다.

 

응시에 의한 이러한 빛의 경험이 인식의 주체와 외부세계와의 연결행위라고 규정할 때, 도시의 발광하는 일방향의 빛은 세속의 욕망, 교감의 부재 등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이번 전시작들에서는 어떤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곳과 어떤 일이 이루어졌거나 일어나는 곳에 집적된 인공 광원이, 확연한 이미지 투사로 때로는 광원이 자리한 공간 주변으로 난반사되면서 또렷이 구성되거나 왜곡된다. 본 전시에서 작가는 타인을 비롯한 외부세계에서 받은 자극이나 상처에 대해 반응하는 행동들과 함께, 역으로 외부에 대한 시선을 비유적으로 교차시킨다. 정정주는 이를 두고 외부의 시선은 작업 초기의 빛의 혀와 같이 촉각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킨다고 술회한다.

 

작품에서 보이는 시선의 왜곡, 시선의 촉각화는 일종의 빛의 환영으로서 관람자를 전시 공간 전체를 훑고 지나가는 빛 안으로 끌어들인다. 환영의 잔상은 거울효과로 인해 일그러지기도 하고, 익숙한 도시 이미지 또한 모니터 화면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닌, 중간중간에 세워진 거울이나 구조물로 인해 확실한 대상으로 다가오다가 어른거린다. 결국에는 빛과 공간, 시선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련의 완성된 건축물을 보는 것과 같은 시각적 착각을 유도한다.

 

빛과 시선으로부터 유래한 형상은 그것이 사실은 본래 빛이었고, 관람자의 경험과 사고에 의해 시선의 해체와 구성은 이내 반복된다. 비가시성과 가시성을 오가는 빛의 이중성은 작가로 하여금 경외와 더불어 불안을 야기시켰고, 이는 더욱 확대되어 가족, , 사회로 점철되는 관계망에 선 개인으로서의 환영을 목도하게 했다. 본 전시에서 언급한 빛의 경험은 그저 감각기관을 자극하는 빛이 아닌 보는 것과 보이는 것, 주체와 대상에 대한 성찰을 끄집어내기 위한 하나의 매개활동일 터이다.

 

실용주의(pragmatism) 철학자 존 듀이는 모든 경험은 살아있는 생명체와 그것이 살고 있는 세계의 어떤 국면과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지금의 예술이 현란한 미디움(medium)으로 하여금 작품을 그저 주목하게 할 것인지, 혹은 온오프를 망라한 일상의 근거리에 자리한 매체들로 인해 유의미한 교감을 이끌어낼 것인가의 문제는, 그것이 여전히 매체특정성(medium specificity)을 담보하기에 중요한 쟁점이 아닐 수 없다. 부연하자면, 삶으로 전이된 예술에서 명명된 과정형의 예술이 시각적 자극 이상의 생산자와 향수자 간의 상호소통의 결과물로서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 숙고해야 할 시점이 아닐까 싶다. ‘다시 빛으로 돌아가 사적 경험의 산물들을 열거한 정정주의 작업이 완전한 경험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되기를 바라며, 감상자 또한 그 과정 안에서 온전히 지속적인 정황의 일부가 될 수 있다면 좋겠다.



작품소개

작가명

정정주

작품명

응시

제작년도

2024

규격

가변크기

재료

레일 장치·프로젝터·비디오카메라(각 2개)

작품설명

긴 레일을 따라 두 세트의 프로젝터가 마주 보며 이동한다. 두 개의 프로젝터는 각각 설치된 비디오카메라에서 찍은 영상을 맞은편의 프로젝터와 카메라를 향해 투사한다. 두 개의 프로젝터가 어느 거리까지 가까워지면, 프로젝션 빛은 순간적으로 폭발하듯 반응하며 번쩍거린다. 복수의 장치에 의한 빛이 만들어 내는 관계성은 나와 타자(타인, 사회, 국가, 역사)간의 관계망을 비유적으로 보여준다.

작가명

정정주

작품명

4 Rooms

제작년도

2024

규격

가변크기

재료

회전장치·프로젝터

작품설명

작가는 거주했던 아파트 단지 내 지인들의 거실을 회전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해 촬영했다. 4개의 거실 공간이 반복적으로 보이는 영상은 회전장치에 설치된 프로젝터를 통해 전시장 벽면으로 투사된다. 타인의 내밀한 공간인 거실은 복제된 건축공간인 아파트에 사적 취향의 흔적을 새긴다.
더불어, 회전의 기법으로 찍힌 영상은 공적인 공간인 전시장 전체를 스치듯이 회전하며 이내 사적인 이미지를 투사한다.
관람객은 개인적 장소인 거실과 보이기 위한 공간인 전시장의 중첩된 레이어를 동시에  경험한다. 이는 단순히 빛의 시각화가 아닌 보는 것과 보이는 것, 주체와 대상의  혼재에 대한 성찰이다.

작가명

정정주

작품명

Metaphysical Star 24-01

제작년도

2024

규격

320×270x260cm

재료

프로젝터와 카메라(각 3개)·스테인리스 스틸

작품설명

지난 10년간 작품으로 제작됐던 네 개의 건축 모형이 부분적으로 해체되고 재조합되어 네 개의 축으로 결합된다. 네 개의 건축모형은 광주항쟁에 대한 감각기억을 다뤘던 구 전남도청과 광주국군병원, DMZ 내에 위치한 구 미군장교 숙소, 강화도 해든미술관의 부분이다. 건축 모형 내부에 설치된 세 대의 카메라가 찍은 영상은 마찬가지로 내부에 설치된 세 대의 프로젝터에서 투사된다.
영상은 모형 내부의 금속 표면에 반사돼 전시장 곳곳에 파편처럼 뿌려지며,
빛의 잔상으로 바뀐다. 개인의 기억과 사회적 기억, 장소의 기억은 마치 밤에 스며드는 출처를 알 수 없는 빛의 흔적처럼 전시 공간을 스며든다.

작가명

정정주

작품명

Noise 24-01

제작년도

2024

규격

73x192x80cm

재료

LED 전광판·스테인리스 스틸

작품설명

건축물을 연상시키는 기역자 형태의 구조물에 LED 전광판과 미러 스텐을 설치했다. LED 전광판의 영상은 거울판에 반사된다. 전광판에는 외부의 스트레스로 인해 손가락을 만지작거리는 여성, 변화하는 빛색, 도시 건축물 표면을 서서히 회전하며 찍은 영상 등이 순차적으로 상영된다. 불안, 혹은 스트레스는 외부세계 및 타자로부터 기인하여 주체의 내부에 생성된다. 주체가 외부를 인식하는 감각인 시각, 촉각, 청각은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며 일정한 범위의 환영을 불러일으킨다.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의 신체, 손의 움직임, 건축물의 표면은 거울에 반사되어 기괴하게 일그러지거나 표면이 확장되기도 하며 변화하는 빛색과 반응한다.
외부로부터의 자극과 역으로 외부로의 시선을 비유적으로 교차시킨 본 작품은
빛과 공간, 시선의 상호작용 안에서 외부 경험의 이중성 및 양가적 특질을
이야기한다.

작가명

정정주

작품명

Luminous City 24-02

제작년도

2024

규격

145x124x118cm

재료

격자형 모니터 4개·스테인리스 스틸·시멘트

작품설명

4개의 모니터에서는 무거운 짐을 옮기는 퍼포먼스 영상, 도시의 건축물에 서서히 다가가는 영상, 색으로 변환된 빛의 움직임 등이 재생된다. 모니터의 영상은 
도시 건축물과 같이 금속 프레임과 시멘트 구조물, 거울, 색면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구조물에 의해 분할되거나 가려지며 반사된다. 모니터의 인공 광원으로 발광하는 작품의 모습은 도시건축의 복합적인 구조를 흉내 내며 안과 밖의 경계를 모호하게 한다.

작가명

정정주

작품명

27 Rooms-24-01C

제작년도

2024

규격

2,930x430x190cm

재료

격자형 모니터 4개·스테인리스 스틸

작품설명

줌인 줌아웃을 반복하는 도시 건축물의 이미지를 다양한 비율로 분할된
네 개의 격자형 모니터로 보여준다.
건축물의 창문이나 구멍을 향해 다가가고 멀어지기를 반복하는 시선은
마치 관객을 향해 다가오는 가상의 응시로 느껴진다.
모니터 화면으로 발산하는 건축물의 형태와 질감, 색이 금속 표면에 반사되며,
건물 이미지, 색과 빛은 모종의 어른거림으로 환원된다.

작가명

정정주

작품명

Tongue of Light–G.MAP version

제작년도

2024

규격

6′ 40″

재료

미디어파사드

작품설명

작가가 시각적 빛의 움직임을 “핥고 지나가는” 촉각적인 감각으로 경험한 일에서 비롯된 작품으로, 빛과 색의 공간적 결합과 구성을 통해
침잠한 듯한 작가적 심상을 보여준다.

작가명

정정주

작품명

Hall 24-01C-G.MAP version

제작년도

2024

규격

각 4′ 26″

재료

3D 애니메이션·3채널 비디오

작품설명

심리적인 은유로서의 공간과 빛의 관계는 미니멀한 건축공간을 서서히 이동하며,
스치는 빛의 색을 통해 구체화된다.
Address.
61636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 338번길 10
Tel.
062-613-6124 (월~금) / 070-4195-2104 (토~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