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G.MAP 뉴미디어아트특화전 <사변적 물질들> 아티스트 토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조회 62회 작성일 25.04.07

본문

fe9a9e3dc74d2ea36ca7c3291f8455ee_1743988548_2002.png



※《사변적 물질들》 전시 연계 아티스트 토크 안내※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G.MAP)에서 개최 중인 G.MAP 뉴미디어아트 특화전 《사변적 물질들》아티스트 토크를 개최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시

 2025.04.22. (화) 오후 2시 – 4시


장소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G.MAP) 미디어 라운지


발표

 양숙현(작가)

질의

홍희진(독립 큐레이터)



참가비

무료 


신청안내

온라인 사전 접수(4월 21일 마감) 혹은 현장 접수

-온라인 신청 링크: https://forms.gle/Q3pXf6TvdhN3CTbP7


작가 소개


양숙현(b.1982)은 기술 환경이 촉발하는 생태계 내에서의 물질과 경험을 주제로 활동하는 예술가이다. 홍익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으로 석사학위를, 영상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10년 서울문화재단 금천예술공장 다빈치 아이디어를 통해 데뷔한 이후 신체성을 토대로 발생하는 기술 체화의 감각을 시각화한 웨어러블 장치에서부터 규모의 물리적 오브젝트가 신호 체계에 의해 좌표를 변환시켜 공간의 실시간성을 경험하게 만드는 아티스트 콜렉티브 활동(전파상 2010-2016), 나아가 알고리즘이 만들어내는 오류와 빅데이터에 반하는 마이너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의 비보편적 활용 속에서 발견한 물질과 정보의 유연한 지점을 다양한 매체로 표현하고 있다. 서울문화재단 금천예술공장(201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크리에이터스 인 랩(2015-16), 국립현대미술관 창동 프로젝트팀(2017)에서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서울문화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 현대자동차그룹 제로원에서 등에서 작가 지원을 받았다. 작품은 아르스일렉트로니카센터, C-LAB 타이페이, 백남준아트센터, ACC 문화창조원, 창원조각비엔날레, 서울시립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제주도립미술관, GAS 2017, 다빈치크리에이티브 등에서 전시하였으며 개인전으로 <물질, 감각, 생성 (2018)>, <소멸하는 물질 감각: 헤비타트 데이터(2023)>가 있다.


Address.
61636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 338번길 10
Tel.
062-613-6124 (월~금) / 070-4195-2104 (토~일)